본문 바로가기

JAVA

(21)
for each for each 자바 1.5 버전부터 추가된 for each 구문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2차원배열 2차원 배열 2차원 배열이란 배열의 배열이다. 2차원 배열 생성 방법 정수를 4개씩 담을 수 있는 배열이 3개 생성된다. 2차원 배열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 만약 array4[1] = 10 ; 이렇게 사용하면 오류!! array4[1] 은 또 다른 1차원 배열을 가리킬 수 있는 참조형 변수이기 때문에 값을 담을수는 없다. 가변크기의 2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하는 방법 *일차원 배열과 같이 인덱스 사용 *이차원 배열을 사용 할 때 크기가 다른 배열 생성 가능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배열 사용하기 for 반복문을 이용해서 배열 사용하기 배열에 접근할때에는 인덱스를 통해서 접근한다. 배열에 0번째 인덱스 부터 시작해서 1부터 100까지 넣기 정수를100개 저장 할 수 있는 배열을 생성 배열의 길이를 알아내는 방법 배열에 1부터 100까지 값넣기 배열에 저장된 값을 모두 더해주기 *변수의 스코프: 그 변수가 선언된 블럭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배열 만들기 1차원 배열 배열은 같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 연속된 메모리 공간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이다.같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 여러개의 변수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변수를 선언 할 떄 어떤 값을 담을 건지 타입을 선택해야함 *배열 > 대괄호[] > 변수명 지정 (ex)array1) *배열 생성 시 new *배열은 처음 선언할 때 만들어진 크기가 변하지 않음 *배열에 값을 넣을 때 배열의 이름 배열 표시 안에 인덱스를 적음 *배열을 가르키는 변수자체가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인트 값을 가질수 있는 네 칸의 메모리를 가르키는 것 *배열은 기본데이터 타입이 아니라 참조형 타입 배열 생성 방법 정수를 4개 저장 할 수 있는 배열을 생성 하는 방법 배열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 배열에 저장된 값을 꺼내서 사용하는 방법 선언과..
for문 for 문 for반복문은 변수초기화, 조건식, 증감식이 한줄에 모두 있다. 초기화식은 최초 한 번만 수행합니다. 조건식을 수행해서 수행결과가 false라면 for 반복문을 빠져 나갑니다. 수행 결과가 true라면 실행문을 수행한다. 증감식을 수행한다. 2번부터 4번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for문을 이용하여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 for문을 이용하여 1부터 100까지의 짝수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do while문 do while문 while문의 경우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다면 한번도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하지만, do while문의 경우는 무조건 한번은 실행되는 반복문이다. do-while 실습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while문 반복문 반복문은 실행문을 반복적으로 실행해야 할 때 사용 한다.반복문의 종류는 while문, do-while문, for문 이 있다. while문 조건문의 실행 결과가 true일 동안 반복해서 실행한다. 10번 반복하면서 0부터 9까지 출력하는 반복문 1부터 100까지의 합을 while문을 이용하여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switch문 switch 문 switch문은 어떤 변수의 값에 따라서 문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문이다. switch문에서 사용하는 키워드는 switch, case, default, break 이다. switch문 value의 값이 1일 경우 1을 출력하고, 2일 경우는 2를 출력하고, 3일 경우는 3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그 외의 숫자가 출력된다. break를 제거하면 value가 1일 경우 1일 출력되고 switch문장을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1,2,3, 그외의숫자가 연속해서 실행된다. break문장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참고 하세요 JDK7이전에는 switch다음 괄호안에 정수타입의 변수만 올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JDK7부터는 switch다음 괄호안에 문자..
삼항연산자 삼항연산자 삼항 연산자 조건식 ? 피연산자1 : 피연산자2 조건식의 연산결과가 true 이면, 결과는 피연산자 1이고, 조건식의 연산결과가 false 이면 결과는 피연산자2 피연산자1, 피연산자2 에는 주로 값이 오지만, 경우에 따라 연산식이 올 수 있다. 삼항 연산자가 익숙하지 않다면, if문으로 바꾸어 이용해도 좋다.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 논리 연산자 논리연산자는 논리곱(&&,&) 논리합(||,|), 배타적 논리합 () 논리부정(!) 연산을 수행한다. 논리 연산자의 피연산자는 블린 타입만 사용할 수 있다. 결과는 불린(boolean)값이다. *구분:논리곱(and) 연산식: && (ampersand ampersand,앰퍼샌드 앰퍼샌드) *있다 구분:논리합(or) 연산식: || (bar bar...?) *구분:배타적 논리합(xor) 연산식: ^ (exclusive OR,익스클루시브 오아) *구분:논리부정(not) 연산식: ! (not,낫) 논리곱 (&&, &) - 피연산자가 모두 true일 경우에만 연산 결과가 true 이다. System.out.println(b1 && b2); -> b2가 false 이므로 결과는 false 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