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연산자
논리 연산자
논리연산자는 논리곱(&&,&) 논리합(||,|), 배타적 논리합 () 논리부정(!) 연산을 수행한다. 논리 연산자의 피연산자는 블린 타입만 사용할 수 있다. 결과는 불린(boolean)값이다.
*구분:논리곱(and)
연산식: && (ampersand ampersand,앰퍼샌드 앰퍼샌드)
*있다 구분:논리합(or)
연산식: || (bar bar...?)
*구분:배타적 논리합(xor)
연산식: ^ (exclusive OR,익스클루시브 오아)
*구분:논리부정(not)
연산식: ! (not,낫)
-
논리곱 (&&, &) - 피연산자가 모두 true일 경우에만 연산 결과가 true 이다.
- System.out.println(b1 && b2); -> b2가 false 이므로 결과는 false
- System.out.println(b1 && b3); -> b1과 b2 모두 true 이므로 결과는 true
-
논리합 (||,|) - 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이면 연산 결과는 true 이다.
- System.out.println(b1 || b2); -> b1 이 true이므로 결과는 true 이다.
-
배타적 논리합 () -> 피연산자가 서로 다른 값일 경우만 연산 결과가 true 이다.
- System.out.println(b1 ^ b2); -> b1은 true, b2는 false로 서로 다르므로 결과는 true 이다.
- System.out.println(b1 ^ b3); -> b1, b3 모두 true로 서로 같다. 결과는false 이다
-
논리 부정 (!) -> 피연산자의 논리값을 바꾼다. true는 false로 false는 true로 바꾼다.
- System.out.println(!b1); -> b1 이 true 이므로 결과는 false 이다.
- System.out.println(!b2); -> b1 이 false 이므로 결과는 true 이다.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