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part2.변수와 계산

(6)
연산자우선순위 연산자 우선순위 최우선연산자 ( ., [], () ) 단항연산자 ( ++,--,!,~,+/- : 부정, bit변환>부호>증감) 산술연산자 ( *,/,%,+,-,shift) >,> ) > 비교연산자 ( >,=,
비교연산자 비교연산자 == , != , , = 비교 연산자의 결과는 *boolean 이다. (*boolean:참과 거짓, true or false) 단순 대입 연산자 i = 10 오른쪽에 있는 피연산자의 값을 왼쪽 피연산자의 변수에 저장 복합 대입 연산자 정해진 연산을 수행한 후에 결과를 대입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산술연산자 산술연산자 부호(+,-), 증감(++,--), +,-,*,/,% *대입연산자: = *다항연산자:부호 연산자, 증감 연산자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하나뿐인 연산자를 말한다.) 연산식 ** x = y + z;** y와 z를 더한 값을 x에 대입한다는 것을 의미 =과 + 는 연산자 = 은 대입연산자 이고, + 산술연산자 이다. y와 z 는 피연산자 이다. x = y+ z 는 연산식이다. 부호를 결정하는 부호 연산자 산술 연산을 할 수 있는 산술 연산자 1씩 증가하거나 감소 시키는 증감연산자 피 연산자가 1개인 연산자는 단항 연산자 부호 연산자와, 증감연산자는 단항 연산자 이다.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기본형 타입변환 기본형 타입변환 기본형 타입(형)변환 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리터럴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묵시적 형변환 크기가 작은 타입을 크기가 더 큰 타입으로 바꿀 때에는 묵시적으로 형을 바꾸어 준다. int x = 50000; long y = x; 이를 암묵적 형변환 이라고도 한다. 명시적 형변환 크기가 더 큰 타입을 작은 타입으로 바꿀 때에는 명시적으로 변환 해주어야 한다. long x = 50000; //int y = x; (이렇게 묵시적으로 수행하면 컴파일러는 오류를 발생 시킨다.) int y = (int) x; (반드시 (타입) 으로 명시적으로 형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를 강제 형변환 이라고도 한다. (출처:프로그래머스 자바 입문 강의)
기본형 타입 기본형 타입 기본형 기본형 타입은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타입으로써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불린형을 의미한다. 논리형 논리형은 크기가 1byte이고 true와 false 중에 한 가지 값을 가질 수 있다. 문자형 문자형은 char로 2byte크기를 가집니다. 문자는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다. 정수형 정수형은 정수를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인데 표현할 수 있는 정수의 범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공된다. 정수형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int는 4바이트이다. long형은 8byte크기를 가진다. int 보다 더 큰 범위의 정수를 표현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실수형 실수형은 float과 double형이 있다. float은 4바이트, double은 8바이트로 double은 float보다 더 ..
변수와 상수 변수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한다. ( 변수= 값(data)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공간 값(date)이 변할 수 있는 수 ) 자바는 강형 언어 *강형 언어=모든 변수의 타입이 컴파일 시에 결정되는 언어 처음 변수를 선언할때부터 해당 변수에 어떤 데이터를 담을 것인지 결정해야함 알맞는 데이터만 저장 가능 변수의 선언 타입 변수이름; int count; ( 정수 값을 담을 수 있는 count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 * Int (타입,어떤 종류의 값을 담을 것인가), count(변수의 이름) double average; ( 실수 값을 담을 수 있는 average 라는 변수를 선언) 명명규칙. 변수의 이름을 정할 때 자바 언어에서 정해놓은 규칙 식별자 (identifier)는 클래스..